한국뉴스

ADB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하향 검토”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올해와 내년 중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창용 ADB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7월 이후 새로운 통계치를 고려할 때 전망치를 추가 하향 조정해야 할 수도 있다”며 “인도와 달리 중국은 포괄적인 성장을 추진하고 있으므로 올해와 내년 7%대의 성장률을 계속 기록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중국이 2020년까지는 연간 […]

 
 

“신흥국 경제 더 나빠질것”…IMF, 세계경제전망치 하향

“신흥국 경제 더 나빠질것”…IMF, 세계경제전망치 하향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세계 경제성장 전망을 또다시 하향 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IMF 총재는 7일 프랑스 남부 엑상프로방스에서 열린 한 콘퍼런스에서 “IMF는 지난 4월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3%로 제시했다”며 “하지만 최근 신흥시장 성장률 둔화를 감안하면 이 수치가 다소 낮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라가르드 총재는 구체적 수치에 대해선 “새로운 성장 전망을 […]

 
 

韓中 FTA 6차 협상 종료…협상지침 합의에 근접(종합)

전자상거래 등 9개 분야 협정 대상에 포함 상품 모댈리티 최종 합의에는 실패…”상당한 수준의 의견접근” 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부산에서 열린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1단계 제6차 협상에서 ‘모댈리티(Modality. 협상지침)’ 합의에 근접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27일 한·중 정상회담에서 ‘높은 수준의 포괄적’ FTA 체결 원칙을 확인한 뒤 열리는 첫 협상이라는 점을 십분 활용해 강도높은 분야별 협의가 진행됐다고 […]

 
 

골드만삭스, 한국 올해 경제성장률 2.7%로 하향 조정

골드만삭스가 올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9%에서 0.2%포인트 내린 2.7%로 하향 조정한다고 4일 밝혔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수출 중가 추세가 둔화되고 투자가 약세를 보이고 있어 이같이 조정한다고 밝혔다. 이밖에 기준금리는 12개월간 현 2.5%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원달러 환율은 1년 전망치를 1100원으로 제시해 기존 1090원보다 10원 […]

 
 

현대硏, 올해 경제성장률 2.6% 전망…0.5%p 낮춰(종합)

“美출구전략·日아베노믹스 하반기 리스크 요인”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국내 경제성장률 예상치를 기존 3.1%에서 2.6%로 0.5% 포인트 낮췄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23일 내놓은 `상반기 경제의 5대 패러독스(역설)와 하반기 리스크 요인 점검` 보고서에서 올해 상반기 성장률은 전년 동기대비 1.8%, 하반기 3.3%로 연간으로는 2.6%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상반기 국내 경기는 내·외수 부진으로 경기 […]

 
 

유가·환율 하락에 5월 수출입물가 동반 하락

유가·환율 하락에 5월 수출입물가 동반 하락

유가 및 환율 하락 등의 영향으로 5월 수출입물가가 모두 하락했다. 특히, 수입물가 하락폭이 수출물가 하락폭을 웃돌아 우리나라의 순상품교역조건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12일 발표한 ’2013년 5월 수출입물가지수’를 보면 지난달 수출물가와 수입물가는 전월대비 각각 1.0%, 1.8% 하락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5.9%, 9.6% 각각 내렸다. 유재원 경제통계국 물가통계팀 조사역은 “환율 하락 등의 영향으로 […]

 
 

한국기업, 中시장서 6개 품목 1등 브랜드에 올라

한국기업, 中시장서 6개 품목 1등 브랜드에 올라

해외브랜드중 美 이어 두번째로 많아…삼성전자·오리온·락앤락 중국시장에 진출한 해외브랜드 가운데 한국기업이 미국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1등 브랜드 품목을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코트라 칭다오무역관에 따르면 중국 기업브랜드연구센터가 최근 170개 품목의 ‘브랜드파워지수’를 조사한 결과 한국 기업으로는 삼성전자·오리온·락앤락 등 3개 기업이 총 6개 품목에서 최고 브랜드 자리에 올랐다. 삼성전자는 휴대전화·TV·모니터 등 3개 품목에서 […]

 
 

“미래 수출동력 ‘해외도시개발’에 정부지원 필요”

미래 새로운 수출 동력으로 주목받는 해외도시개발 프로젝트 수주를 위해 범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8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신흥국을 중심으로 2050년까지 18조6천억달러가 도시개발에 투입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현재 한국 기업의 시장 진출은 정체 상태에 있다. 국내 기업들은 2005년 이후 이라크 등 5개국에서 총 100억달러 규모의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지만 인건비 […]